본문 바로가기
독서&사색

아질산염(아질산나트륨)에 대해...

by G.Y 2020. 10. 27.
728x90

최근 예방접종으로 인한 사망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사인으로 아질산염(아질산나트륨)이 아닐까 의심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질산염은 소세지, 햄, 베이컨 등 가공 육류에 많이 들어있고 이외에 채소중에서도 질소 비료를 사용하여 키운 채소에 많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가공 육류에서 여러 균이 자라는 것을 억제하고, 지방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수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사용하지 않은 제품은 제조가 어려워지고 보관기간이 짧아지고 그럼에 따라 가격이 높아지겠죠)

 

이 아질산염은 WHO IARC(국제암연구소) 에서 발암물질로 지정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사용량에 대한 허용기준도 정해져있는 상태입니다.

정확하게 IARC(국제암연구소)에 의해서 '발암 가능성 있음'으로 분류되어 있고 1972년의 네브래스카 대학 의학 연구소에서 실험이 이루어지기도 했습니다. 생선과 육류의 구성물질인 알킬아민류와 아질산 성분이 결합하면 니트로사민이 생성되고 정확하게는 이 니트로사민이 발암물질인 것입니다.

 

국내 허용기준은 식육가공품은 70ppm(70mg/kg) 이하, 어육소세지는 50ppm, 명란젓 5ppm, 훈제연어에는 사용금지

로 되어 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를 허용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미국 육류가공품 200ppm이하)

WHO(세계 보건기구)의 경우 체중1kg 에 대해서 하루 0.06mg 정도를 허용치로 보고 있습니다. (50kg -> 3mg)

 

WHO 의 기준에 따르면 50kg 인 사람이 하루 섭취할 수 있는 정도는 식육가공품기준으로 42g 입니다.

 

아래 몸무게별 섭취량 표는 참고해주세요.

  아질산염
허용치(WHO기준)
[mg]
식육가공품
섭취량(최대)
[g]
어육소세지
섭취량(최대)
[g]
명란젓
섭취량(최대)
[g]
20  kg 1.2 17 24 240
25  kg 1.5 21 30 300
30  kg 1.8 25 36 360
35  kg 2.1 30 42 420
40  kg 2.4 34 48 480
45  kg 2.7 38 54 540
50  kg 3.0 42 60 600
55  kg 3.3 47 66 660
60  kg 3.6 51 72 720
65  kg 3.9 55 78 780
70  kg 4.2 60 84 840
75  kg 4.5 64 90 900
80  kg 4.8 68 96 960

 

위의 표는 말그대로 참고사항입니다.

 

위 표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사실 가공육 등보다 채소에 들어있는 질산염이 훨씬 많다고 합니다.

이는 비료사용 때문입니다. 유기농식품이라는 것도 다르지 않습니다. 

 

유기농제품은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는 제품을 말합니다.

유기질비료사용은 질산염함유량을 훨씬 높입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따지다보니 도데체 무엇을 먹으라는 것인지 의문만 더 커지고 답을 찾을 수 없는 답답한 경우가 발생합니다.(자세히 공부해보겠다고 찾아보면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마다 다른 견해를 두어 소비자나 일반인들은 머리속만 복잡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지금지대는 무엇을 먹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먹느냐를 잘 알아보아야 하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가공육이나 야채들은 끓는 물에 2~3분 정도 데치면 아질산나트륨을 포함해 질산염들을 상당량 제거할 수 있습니다.

 

번거롭다 생각말고 가족들과 함께 건강을 지키고 100세 시대를 살아갈 신체적 조건들을 잘 준비하시는 모두가 되시길 바랍니다.

'독서&사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크리스천_스타트  (0) 2020.11.09
故이건희 회장 님의 명언  (0) 2020.10.28
긍정 에너지  (0) 2020.10.03
[서평] 꿈꾸는 다락방  (0) 2020.10.01
[서평] 인생 수업  (0) 2020.09.30

댓글